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BR4

코스피 코스닥 상장 폐지 요건 확실히 알자! 증권시장은 큰 부를 가져다주기도 하지만 잘못 투자를 하게 된다면, 열심히 노력하여 번 돈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그중 상장폐지를 당하기라도 한다면 정말 큰 충격이 아닐 수가 없는데요. 어떤 상황에 처한 회사들이 상장폐지의 심사를 받게 되는지 정확히 알고 투자하는 게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 코스피 시장과 코스닥 시장의 상장폐지 요건과 해당 종목들을 거를수 있는 지표들이 어떤 게 있는지 살펴보려 합니다! 목차 1) 코스피(KOSPI) 시장의 상장폐지 요건 2) 코스닥(KOSDAQ) 시장의 상장폐지 요건 3) 주요 지표들 알아보기 1) 코스피(KOSPI) 시장의 상장폐지 요건 1. 연속 2년 동안 자본 잠식율이 50% 이상인 경우 이 조건은 회사의 순자산이 2년 연속 자본금의 절반 이하로 감소한 상.. 2024. 2. 5.
ROE란? 주식 재무제표 기본 알기 (4) 주식 재무제표 기본 알기 시리즈 네 번째 편은 바로 ROE입니다. 지금까지 EPS, PER, PBR을 알아봤는데 ROE 역시 그 못지않게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ROE는 비교적 많이 접해 봤을 수도 있을 텐데요. 요즘 친구들끼리 음식점을 가거나, 노력대비 가성비가 안좋을 때, 장난으로 ROE가 안 나오네? 이런 장난을 많이 치는 것 같더라고요. ROE는 쉽게 말해 가성비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ROE 란? ROE는 Return On Equity 의 약자로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기자본이익률은 말 그대로 자기 자본대비 이익률을 말합니다. 공식으로 말하자면 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자본총계는 내 전체 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말 그대로 내가 100만 원을 투자한 .. 2024. 1. 8.
PBR 이란? 주식 재무제표 기본알기 (3) 주식 재무제표 기본 알기 3탄, PBR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PBR(Price Book 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은 주식 투자자들한테는 매우 익숙하고도 중요한 단어입니다. 주식 투자를 할 때, 주가만 보고 매수와 매도를 결정하는 것은 책의 표지만 보고 그 내용을 판단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 주식이 적정한 가격인지,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 판단하기에 PBR은 꽤나 참고할만한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도대체 PBR이 뭐길래 가치평가를 할 때 참고할만한 지표라고 하는지, 지금부터 설명 시작하겠습니다. PBR이란? PBR이란 위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영어로 Price Book value Ratio, 뜻은 주가순자산비율 이라고 합니다. PBR의 산출 공식은 로 표현됩니다. 그.. 2024. 1. 4.
EPS란 무엇일까? 재무제표의 기본 알기 (1) 주식을 하다보면 EPS가 어떻고 PER이 어떻고 이런 얘기들 많이 들어보시지 않으셨나요? 영어로 표기하고 있는척 해서 그렇지 알고보면 너무 쉬운 주식 용어들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그 첫 번째로 EPS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EPS란 무엇일까? EPS란 Earning Per Share의 약자입니다. 영어로 괜히 어렵게 말하지 않고 한국말로 하면 주당 순이익을 말합니다. 우선 순이익이라는 말은 기업이 제품 혹은 서비스를 판매하는 금액에 원가를 뺸.... 이런 어려운 말은 제외하겠습니다. 쉽게 말해 순이익은 친구와 제가 500원으로 재료를 사서 과자를 만듭니다. 그 과자를 1000원에 판매한다면 순이익은 500원이 됩니다. 마지막에 손에 쥐고있는 돈에서 내가 사용한 돈을 뺀다면, 그게 순이익이 되는 것입.. 2023. 12. 21.
반응형